몇달전에 다른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썻던 글인데
문체만 바꿔서 다시 올리는 글이야
종심전투교리에 관해서 쓴 글인데
전문성은 없고 그냥 그런가보구나 하고 읽고 넘어가면 돼
만든사람은 위의 미하일 투하체프스키야
2차세계대전 직전 인간백정 스탈린의 대숙청때 숙청당한 소련군 총참모장으로 이사람이 살아있었더라면 동부전선에서 독일군에 그렇게 밀리진 않았을거야
종심전투이론을 알아보기전에 먼저 광정면동시접촉 이론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
1차대전때 처럼 다른곳은 내비두고 한곳만 공격하는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모든 전선에 걸쳐 공격을 가하는거야
모든 전선에 걸쳐 공격을 가하면 상대방은 주공이 어느쪽인지 몰라 섣불리 예비군을 투입할수 없고, 전선중 약한곳에서 균열이 발생하게 돼
그럼 이때 예비대로 돌파구를 넓히고 종심 깊숙히 파고들면 되는거야
위에 사진을 보면 쉽게 이해할수 있을거야 돌파예비는 전선을 넓히는 용도, 기병 및 기계화부대는 적 종심 깊숙히 파고드는거다.
A는 군 SA는 충격군이야
군이 1차대전 처럼 보병이라면 충격군은 보병,포병,전차,항공기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돼서 적의 전선을 뚫는 역활이야 간단히 기계화부대라 볼수있는데 기동력과 충격력 둘다 요구되는 부대야
위의 짤은 종심전투이론하면 많이 보이는 짤이야
이제 간단히 정리해 볼게
먼저 넓은 전선에 걸쳐 공세를 가해 그러다 적 전선에 균열이 발견되면
충격군 균열에 투입해 적 전선을 돌파시키고 기동군을 투입, 적 종심 깊숙히 파고들어
종심에 위치한 적 사령부, 도시 등이 공격당하면 적은 자동적으로 와해당해
공격에도 있는것처럼 종심방어가 있는데
바르바롯사 직전 소련군 처럼 최전선에 병력을 집중시키지 않고 저렇게 여러선으로 방어선을 구축하는거야
1차대전떄는 철조망,참호,기관총진지 그리고 포병으로 이루어지는 방어도 종심방어라 볼수있지만 종심이 짧아서
쉽사리 돌파당할수 있어
급하게 찾다보니 설명에 정확한 사진은 아닌것 같지만 일단 설명해볼게
부대들이 방어 전환 여건과 작전 목적에 따라 제병협동군의 배치 종심은 상이했다. 전쟁의 제2기에 전선군 방어 종심은 50~80 Km 이상이었으며 야전군 방어 종심은 20~35 Km, 제3기에는 전선군의 경우 40~50 Km, 야전군의 경우 15~30 Km에 달했다
위의말은 2차세계대전때 소련군의 방어에 관한 국방부 연구자료야
저렇게 수십km단위로 방어를 구축하니 돌파하거나 어렵고 설사 돌파 하더라도 전선 후방에 기동력을 갖춘 예비대를 두어 적의돌파구를 막는거야
여기서 추가하자면
기동방어로는 독일군의 3차하르코프 공방전, 종심방어로는 소련의 쿠르스크전투를 들수있어(이 두개가 개별적인 방어는 아니야)
다만 우리나라로서는 하기 어려운 방어야 국토의 일부분을 내주면서 적의 공세종말점을 기다리는건데 서울을 뺏기면 우리로서는 이기더라도 이긴게 아니지
뭐, gop사단 예비사단으로 나눈걸 종심방어라 할수있고 애당초 밀릴일이 있을거라 생각하진 않으니까 그냥 넘어가자
마지막으로 흔히 전격전과 종심전투의 차이를 알아보면
전격전은 적의 병력의 소모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어
낫질작전,하르코프 같은 작전들이 독일식 기동작전(전격전)이 좋은 예야
이에반해 종심전투는 적 깊숙한 곳에 들어가 사령부 라던지 정치적,경제적 기반을 점령 적국의 군사뿐만아니라 국가 전체를 마비시키는게 목표야
서부전선에서 프랑스군의 공황사태 같은걸 노리는게 종심전투인데 전격전에서는 그런 개념이 미비해
다만 탱크가 갑톡튀하고 잘못된 무전 같은걸로 우연히 마비당했을 뿐이지
좀더 알아보고 싶은사람은 디씨 이차세계대전갤러리에서 보면 쉽게 읽을수 있는 자료가 많이 있어
2014년 초에 쓴걸 문체만 바꿔서 다시 쓴거야
지금 보니 부족한 점이 많은데 귀찮잖아
우우... 전쟁론도 가볍게 설명하면서 쓸려고 하는데
전쟁론이 너무 재미가 없어서(너무 재미없어서 가볍게 설명하려 하는거지만)
언제쯤 시작하고 언제쯤 완성할지 모르겠어
ROTC합격하면 당연히 하겠지만 떨어진다면야
아하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RECENT COMMENT